목록포렌식/파일시스템 (파일시스템 포렌식분석) (43)
Piki's Play

우선 이번에 배울 것은 기본동작들에 대한 것들이다. 순서 : Data-> Disk -> 2진수,10진수,16진수 -> 부팅순서, 코드 -> 하드디스크, 위치 ATA,HPA,SCSI 2.1 데이터 구성 -> 조사 대상 장치들의 목적은 디지털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다. ▶ 2진수, 10진수, 16진수 진법에 대해 이야기하기 이전에 컴퓨터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다. 보통 컴퓨터는 0과 1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는데 이것이 2진수 이다. 01011101...... 이런것들을 많이 보았다. 그리고 각 자리를 비트라고 하는데 즉, 1비트=0or1이 되는셈이다. 또한 1바이트= 8비트로 이루어져있다. 즉, 0000 0000 이 8자리가 1바이트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1바이트는 2^8개를 표현할 수 있다. 이제 16진수를..

책의 첫 페이지부터 사람들에게 부담을 줄 수 없다고 생각을 했는지, 시작은 기초부터 되어있다. 우선 어려울것만 같은 개념부터 하나씩 따라가 보자 ▶ 디지털 조사와 증거 디지털 조사와 디지털 증거에 대해 간략하게 생각을 해보자. 그냥 글씨대로 생각해보면 말 그대로 디지털상을 조사하고 그 속에서 증거를 찾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맞다. 여기서 핵심은 무엇일까? '범죄와 관련된 사고, 디지털 장치'에 대해 조사를 하고 증거를 찾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왜 조사를 하고 증거를 찾을까? 바로 '가설을 뒷받침하고, 반박을 위해서'이다. 범죄자가 만약 디지털 장치를 이용해서 범죄를 일으킨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수사관은 디지털 장치에서 증거를 통해 '왜, 누가, 어떤'에 대해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에 대한 답..
파일시스템에 대한 공부를 진행하기위해서 브라이언캐리어가 쓴 '파일시스템 포렌식 분석'이라는 책을 구매하였다. 도착하는 날부터 공부를 해야겠다!! ---------------------------------------------------------------------------------------------------------- 1월 13일 책이 도착했다. 처음 책을 봤을때 살짝 대학교에서 사용할법한 느낌의 서적이었다. 그리고 놀라운점은 이 책이 2011년에 상을 받았다는 것이다...... 지금은 2020년인데.. 그래서 다음과 같이 공부하고자 한다. 1. 책을 위주로 보면서 필기를 해둔다. 2. 필기를 보고 책의 내용을 떠올리면서 여기에 적을 것이다. 3. 아무래도 9년이 지난 책이기 때문에 지금..